웰빙을 넘어서 웰라이프를 디자인하자
– 삶의 시작부터 끝까지, 진정한 행복을 위한 라이프 디자인 –
우리는 지금 ‘웰빙 홍수’ 속에 살고 있습니다
오늘날 웰빙(well-being)은 더 이상 중·장년층만의 관심사가 아닙니다.
20~30대 젊은 세대 역시 몸과 마음의 균형을 추구하며 자기만족과 삶의 질을 높이는 라이프스타일에 깊이 몰입하고 있습니다.
웰빙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서 이제는 하나의 문화 코드, 생활 철학, 존재 방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웰빙족의 공통점: 건강한 몸과 마음을 동시에!
웰빙을 실천하는 사람들, 이른바 ‘웰빙족’은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 식습관: 유기농 식품, 생선 위주 식단, 슬로푸드
- 생활 습관: 탄산음료와 화학조미료를 지양
- 운동 루틴: 요가, 필라테스, 피트니스, 단전호흡 등
- 삶의 태도: 정신적·육체적 건강을 통합적으로 추구
이들의 목표는 단순한 건강이 아닌, 삶의 의미와 만족을 동시에 찾는 것입니다.
‘웰에이징’의 시대: 나이 들어도 품격 있게
누구나 노화의 과정을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잘 늙는 법(웰에이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 시니어 대상 웰에이징 센터의 증가
- 활동적이고 자율적인 노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 자기 돌봄(Self-care)이 핵심 가치로 부상
웰에이징은 단지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가치 있게 사는 것입니다.
그런데, 왜 ‘죽음’에 대해서는 외면할까요?
이제 우리에게 중요한 질문이 남습니다.
“왜 우리는 웰빙과 웰에이징은 열광하면서,
죽음(well dying)은 외면할까요?”
서울시의 조사 결과, 대부분의 시민은 죽음을 피하고 싶은 공포의 존재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죽음은 ‘나와 무관한 일’, ‘언제나 먼 이야기’로 치부되며, 준비하지 않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해외는 이미 ‘죽음 준비 교육’을 하고 있다
미국, 독일, 일본, 호주 등에서는 생애 주기별 죽음 준비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교육의 핵심은?
- 죽음에 대한 공포 해소
- 삶의 가치 재정립
- 생명에 대한 존중과 감사
- 자살 예방, 비탄 준비, 리빙 윌 등 실질적 준비
이런 교육은 죽음을 슬프고 두려운 이별이 아닌, 삶을 깊이 들여다보는 계기로 만듭니다.
죽음을 생각하는 태도는 곧 삶을 대하는 태도
죽음을 대하는 두 가지 방식:
- 삶을 잘 살아온 이들: 후회 없이 죽음을 맞이함
- 삶을 준비하지 못한 이들: 죽음 앞에서 두려움과 애원
죽음을 준비하라는 말은 죽을 각오를 하라는 것이 아니라,
지금 제대로 살고 있는지를 돌아보라는 의미입니다.
죽음 교육은 결국 ‘삶을 위한 교육’
세계적인 죽음학자 알폰스 데켄 교수는 말합니다:
“죽음 교육은 삶을 위한 교육이다.”
그가 정의한 죽음 교육의 핵심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죽음에 대한 공포로부터의 해방
- 인생 가치관 재정립
- 생명 윤리·의학·법학 등 통합적 이해
- 존엄하고 아름다운 죽음을 위한 준비
웰다잉(well dying)은 웰라이프(well life)의 완성이다
우리는 흔히 웰빙, 웰에이징만을 말하지만,
웰다잉은 이 모든 것을 아우르는 삶의 완성입니다.
웰빙 → 웰에이징 → 웰다잉
= 웰라이프(well life)의 흐름
행복하게 사는 삶과 아름답게 마무리하는 죽음은 끊어진 개념이 아니라 연결된 하나의 선입니다.
지금, 웰라이프를 디자인하세요
웰빙이란?
세상 속에서 행복을 느끼며 살아가는 것
웰다잉이란?
살아온 날들을 아름답게 마무리하는 것
우리는 모두 빈손으로 태어나, 빈손으로 떠나는 존재입니다.
그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이는 순간, 우리는 삶의 본질과 기쁨에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당신의 웰라이프 체크리스트
- 오늘 하루, 내가 행복을 느낀 순간은?
- 나는 건강한 삶과 죽음을 준비하고 있는가?
- 나의 삶은 의미 있고 감사한가?
- 지금 하는 일은 정말 가치 있는 활동인가?
삶을 잘 산 사람은 죽음도 잘 준비합니다
웰빙이 끝이 아니라, 웰다잉까지 연결되는 삶.
그것이 진정한 웰라이프입니다.
지금 이 순간, 당신의 웰라이프를 디자인해 보세요.
'귀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의 참행복을 찾아서 (0) | 2025.09.11 |
---|---|
추분(秋分) – 낮과 밤이 같아지는 24절기의 의미 (1) | 2025.09.11 |
불안이 일상이 되어 버린 사회에서 살아가는 가족 (0) | 2025.09.05 |
자식의 안위를 걱정하는 부모의 마음 (0) | 2025.09.04 |
나답게 나이 드는 즐거움 (5) | 2025.08.20 |